도림사


종무소

수행과 포교의 근본도량

도림사

신도교육

도림사

사찰기본예절

사찰의 의미

사찰은 부처님을 모시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닦아가는 불·법·승 삼보가 갖추어져 있는 성스러운 도량이다.
사찰은 거룩하고 장엄한 수행의 도량으로서 우리들의 어두운 마음을 밝고 청정하게 닦는 곳이며,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는 참회의 도량이며, 무상의 깨달음을 얻기 위해 열심히 정진하는 한없는 수행의 도량이다.

인도에서 사용한 절의 명칭으로는
‘비하라(Vihara)’, ‘승가라마(sangharama)’ 및 ‘아란야(Aranya)’를 들 수 있다.


‘비하라’는 유행처流行處·주처住處·정사精舍·승방僧坊이라 번역되며 ‘승가라마’는 승가람僧伽藍 또는 가람伽藍이라고 적는다. 대중들이 머무는 원림 중원衆園이라고 번역 되지만 둘 다 모두 정사精舍라고 불리고 있다. 정사는 ‘수행에 힘쓰는 사람이 머무르는 곳’ 이라는 뜻이다.
‘아란야’는 난야蘭若라고 적는데 산중 또는 들판(野)이 원 뜻인데, 수행자들이 홀로 머물며 수행하기 적당한 처소를 의미한다. 그래서 멀리 떠난 곳 ‘원리처遠籬處’, 적적하고 고요한 곳 ‘적정처寂靜處’, 비고 한적한 곳 ‘공한처空閑處’, 시비와 다툼이 없는 곳 ‘무쟁처無諍處’라고 번역되고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절의 명칭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사寺라고 하는 것은 원래 중국 행정관청의 명칭인데 이 행정관청 중에서 외국인을 접대하는 홍로사鴻寺에처음 오신 분이 서역 인도땅에서 오신 스님이었기 때문에뒷날 스님들이 머무시는 곳을 모두 ‘사寺’라고 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찰을 흔히 절이라고 부르는데 왜 절이라고 하느냐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정하지 않다. 또 도량道場이라는 말로도 불리어지는데 절에는 모든 곳에 부처님이 계시고 불법의 도를 선양하며 널리 펴기 때문에 도량이라 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인도에서의 사찰명 ‘비하라’의한문 뜻 번역 정사精舍와 ‘승가람’의 한문 소리번역 가람伽藍이라는 말도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절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다.
어떤 이가 말하기를 신라 시대 인도의 묵호자墨胡子 스님이 신라 땅에 들어와 선산의 모례毛禮라는 사람의 집에서 머물렀기 때문에 모례라고 하는 발음을 신라말로 할 때 털례라고 했을 것이며 이 털례가 철례로, 철례가 절례로 바뀌어 나중에는 례자가 생략되어 ‘절’이 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털례 → 철례 → 절례 → 절’이라고 하는 변화를 거쳐 ‘절’이란 말이 생겼을 것이라고 유추하는 것이다. 또 절에 가서 절을 많이 한다고 해서 절이라고 한다는 우스개 말이 있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선 일반적으로 절, 사찰의 명칭을 사寺, 암庵, 정사精舍, 원院, 법당法堂, 총림叢林 등으로 부르고 있다. 사寺는 일반적 규모나, 규모가 큰 사찰을 대부분 사寺라고 부르고, 주로 깊은 산중 작은 규모의 사찰을 암庵이라 부르고, 도시에서 포교를 주로 하는 사찰들은 사寺나 정사精舍, 법당法堂, 원院이라는 명칭을 복합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사찰 중에서 참선을 수행하는 선원禪院, 부처님과 조사님들 경론을 공부하는 강원講院, 부처님의 계율을 공부하는 율원律院 등의 시설을 갖춘 종합 수도원을 총림叢林이라고 부르고 있다. 총림이란 이름 그대로 나무들이 숲을 이루어 빽빽이 모여있듯이 많은 수행자들이 숲처럼 모여서 규율을 바르게 지키며 서로 화합하면서 도를 닦는 곳을 말한다.
인도에 있어서 최초의 불교사원은 마가다국 왕사성의 죽림정사이며, 그 뒤에 코살라국 급고독장자에 의하여 유명한 기원정사가 세워졌다. 그리고 중국에서 최초로 세워진 사원은 백마사이며,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세워진 사찰은 고구려의 초문사肖門寺와 이불란사伊弗蘭寺, 신라에서는 흥륜사興輪寺이다.

41015 대구 동구 인산로242(진인동)    전화 : 053) 981-7276, 053)981-7830, 053)983-8011    팩스 : 053)981-7286
copyright ⓒ 2015 팔공산도림사 all rights reserved.